클린코드1 생명을 불어넣는 작업 : 재사용 가능한 UI 컴포넌트(Components) 제작 거대한 View를 잘게 쪼개는 것의 미학 시작하며 : 왜 View를 분리해야 하는가? 이전 포스팅까지의 여정으로 앱의 두뇌(ViewModel)와 심장(Service)을 모두 구현 했다. 로직과 UI의 지휘자 : 뷰모델(ViewModel)과 비동기 처리async/await와 @Published로 우아하게 상태를 관리하는 법시작하며 : 왜 '지휘자'가 필요한가? 이전 포스팅까지의 작업으로, 사진 데이터를 주면 분석 리포트를 뱉어내는 강력한 엔진(PhotoMetadataService)johjo.net 앱의 심장을 만들다 : 메타데이터 분석 서비스(Service) 구현ImageIO 프레임워크를 파헤쳐 사진의 비밀을 캐내다시작하며 : '실제 일'을 하는 녀석의 등장지난 포스팅에서 앱의 뼈대(Model)와 소통 규.. 2025. 9. 3. 이전 1 다음